본문 바로가기

사고이야기/산재근재

(45)
[척추]산재사고 횡돌기 골절과 척추골절 근재청구 재해경위 : 2018년00월00일 08시10경 작업을 위해 동료와 상부층에 올락서 판넬을 옮기는 과정에서 밑에 있는 개구부를 발견하기 못하여 아래로 추락하였습니다. 안전띠를 매고 있어 바닥으로 추락하지는 않았으나 떨어지면서 어떤 물체에 머리르 부딪혀 정신을 잠깐 잃었다가 깨어나보니 30미터 높이 위에서 매달려 있다가 다행이 주변에서 끌어 올려주었고 바로 병원으로 이송되었습니다. 산재신청 : 사고후 회사입장을 고려하여 공상처리 할려 하였으나 일용직이라 그런지 회사에서 처리하는 과정이 지연되고 치료의 한계가 있으므로 한달정도 지나 다시 산재신청 하게 되었습니다. 사고 후 한참지나 산재신청을 하다보니 충분한 치료가 어려웠고 골절된 부위외에 다른 부위에도 이상이 있었으나 추가상병신청이 안된 상태에서 산재요양이 ..
압박골절 장해등급 심사청구 및 재심사청구 산재압박골절 장애등급 불승인 심사청구 및 재심사청구 다음은 어렵게 산재요양승인 이후에도 장해급여 신청에서 불승인이 되었고, 근로복지공단 본부에 심사청구를 하였으나, 심사청구에서도 불승인이 되어 고용노동부 재심사 청구로 산재장해등급 결정을 받아 근로복지공단으로 부터 장해급여를 지급 받은 사례입니다. [산재압박골절 장해등급 지급사례] 산재 승인후 치료기간동안 치료를 받고, 1년만에 치료가 종결되어 주치의에게 척추 유합술에 대한 산재장해진단서를 발급받아 관할 근로복지공단에 제출하였습니다. 공단지정병원에서 검사를 받고 심사후 산재장해등급에 대한 산재장애등급외 판정 결정을 받았습니다 위와 같이 불승인 사유는 사고 이전에 압박골절이 있었다는 이유와 위의 상병정도는 수술이 필요없을 정도의 압박골절이라하여 수술불승인!..
[산재]산업재해 보상 산재처리 기준 정보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및 근로복지공단 산재보상 정보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 https://www.kcomwel.or.kr/kcomwel/comp/disa.jsp 산업재해란?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근로자의 부상 질병 장해 또는 사망을 의미합니다. 업무상재해의 인정기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37조 참고)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 업무상 사고나 질병 산재처리 방법 1. 산재신청은 병원주소 관할 근로복지 공단으로 산재신청을 하게 됩니다. ① 최초요양신청서(주치의 소견서, 사고진술서등) => 근로복지공단(서류검토, 사고확인, 사업주확인)승인여부 ② 산재승인(승인상병명, 치료기간, 평균임금)결정통지서 => 산재불승인(90일안에 심..
산재종결 후 근재보험청구 일하다 다친사고 산재보험처리 및 근재보험청구 산재보험(산업재해 보상보험)과 근재보험(근로자재해보험) 1. 업무중(일용직, 건설공사직, 상시근로자, 아르바이트 등)에 급격한 사고라든가, 반복적인 업무로 인하여 질병 을 얻거나, 사망하는 경우 회사에서 가입된 산재 보험에서 요양급여, 휴업급여, 장해급여, 장례비 및 유족연 금 등을 보상 받게 됩니다. 물론, 업무중 사고나 질병에 있어서 상당인과관계가 증명되어야만 산재보험보상법 적용을 받아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즉 산재승인을 받은 것은 업무중 사고 인정 및 사업주에게 책임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2. 내가 업무중 사고를 당했다 하면 우선적으로 사업주에게 법률상 손해배상 책임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사업주는 업무상재해 인정하여 1차적으로 산재보험으로..
산재사고사망 유족급여와 회사손해배상금 산업재해 사망사고의 산재보상금과 회사손해배상금 산업재해보상보험은 업무상 재해나 질병으로 근로자가 입은 피해를 보상하는 제도입니다. 그 보상범위는 사고로 인한 요양급여외 휴업급여 간병급여, 장해시 장해급여 그리고 사망의 경우 장례비와 유족급여가 지급되게 됩니다. 그러나 산재보험보상은 재해자가 입은 기본적인 보상을 목적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산재에서 보상되지 않는 위자료 및 상실수익액등은 회사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산재사망사고] 건설현장에서 사고를 입고 사망한 재해자의 경우 어떻게 보상되는 알아볼까요? [산재보상금] 1.장의비 ①일금 x 120 으로 하되 산재장의비 최고한도 또는 최저한도 금액으로 보상됩니다. 2.유족급여 ①일시금 : 일금 x 1,300일 ②유족연금 : 평균임금의 47%의 기본금액에..
장애등급기준 척추압박골절 산재장애등급 급여 산업재해사고 척추압박골절 장해등급별 보상기준 [요추 L1~L5] 척추 사고 : 건물외부 공사중 미끄러지는 사고로 3m높이에서 떨어져 부상을 입고, 근로복지공단에 산업재해사고 신청, 승인후 치료. 치료 : 요추1번 압박골절로 6주입원치료와 통원치료(수술여부 : 무) 보상 : 산재요양급여 및 휴업급여 지급치료종결후 장해급여신청 산재 척추의 장해등급 기준표 장애등급 척주의 장해 재해보상일시금 제6급 척주에 극도의 기능장해나 고도의 기능장해가 남고 동시에 극도의 신경근장해가 남은 사람 연금 : 164일분 일시금:737일분 제7급 척주에 극도의 기능장해나 고도의 기능장해가 남고 동시에 고도의 척추 신경근 장해가 남은 사람 또는 척주에 중등도의 기능장해나 극도의 변형장해가 남고 동시에 극도의 척추 신경근 장해가 남..
[산재보험]산재급여의 종류 산재보험급여 종류 업무중사고는 산재보험에서 보상을 받게됩니다. 업무중사고는 사고와 질병을 포함하며, 사고즉시 근로복지공단에 산재승인신청서를 넣습니다. 대게, 처음병원에서 진단서와 소견서를 가지고 산재신청서와 함께 근로복지공단에 제출하면 산재승인여부가 결정됩니다. 산재승인후에는 적절한 치료와 그 치료기간동안 일을 할 수 없으므로 휴업급여가 지급됩니다. 차후 치료가 종결되고 장해가 남을시는 장해등급에 따른 보상도 받으시면 됩니다. 산재신청시 주의할 점은 사업주나 회사의 허락이 필요한 것으로 알고있는 경우가 많은데, 사업주가 산재신청을 거부한다 하여도 재해자나, 보호자가 근로복지공단에 충분히 신청할수 있습니다. [산재보험급여의 종류] 요양급여(치료와관련한) *진료비 : 치료에 소요된 병원비용 *간병비 : 간호..
산재장해등급[산재장애등급 다리의 장해등급 기준] 산재장해등급 보상기준 및 다리의 장애등급표[근재보상]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시행 2014.1.1.] [대통령령 제25050호, 2013.12.30., 타법개정] 장해등급 장해연금 장해일시금 다리의 장해(결손장해/기형장해/기능장해) 1 329일분 1,474일분 -.7.두 다리를 무릎관절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8.두 다리를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2 291일분 1,309일분 -.4.두 다리를 발목관절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3 257일분 1,155일분 -. 4 224일분 1,012일분 -.5.한쪽 다리를 무릎관절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7.두 발을 리스프랑관절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5 194일분 869일분 6 164일분 737일분 -.7.한쪽 다리의 3대관절중 2개 관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