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해이야기/산재보상장해등급

(5)
[산업재해 보상5.]외부 코의 장해/코의 기능 장해[후각상실] 코의 장해가.장해등급기준구 분장해등급장해의 정도비강의 장해기능장해제12급제7호코로 숨쉬기가 곤란하게 된 사람 또는 냄새를 맡지 못하게 된 사람외부코의장해결손장해제9급제5호코에 도도의 결손이 남은 사람제10급제3호코에 중등도의 결손이 남은 사람제12급제6호코에 경도의 결손이 남은 사람.외부 코는 비골.비연골과 이를 덮고 있는 피부 및 피하조직을 말한다.-외부 코의 결손장해- 코의 결손정도에 따라 고도,중등도,경도로 구분하여 장해등급을 인정합니다.-비강의 장해:코로 숨쉬기가 곤란한 사람은 일상생활에서 구강호흡의 보조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코로 숨 쉬는 것만으로는 정상적인 호흡을 할 수 없다는 것이 의학적으로 인정된 검사로 확인되는 경우에 인정합니다.(냄새를 맡지 못하게 된 사람은 후각이 완전히 소실된 것으로..
[산재보상5.]산재장해등급 등급별 청력장해[귀의장해] 근로복지공단에서 심사하는 청력장해 인정기준은 요양기간중에 여러가지의 검사를 시행한 검사결과지와 장해진단을 위해서 검사한 청력검사 결과, 그리고 주치의의 장해소견과 검사소견을 바탕으로 심사를 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외  다른 검사가 더 필요하다면 공단에서는 치료병원으로 특수검사의뢰를 하게 되고, 재해자는 장해심사를 위한 몇가지 검사를 더 받아야 합니다. 이러한 검사와 절차에  따라  산재장해등급이 결정이 됩니다.청력이 소실 되거나, 난청이 생기는 경우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직업현장에서의  소음성 난청외 대뇌출혈이나 뇌출혈 같은 두부손상으로 오는 청력상실등이 있습니다.  이처럼 업무 중 재해로 인정이 된다면 귀의 장해등급별 기준을 확인하고,  주치의의 소견을 받아 산재 장해급여 신청을 해야 합니다.https..
[산재보상5]신체별 장해등급 기준[눈의장해] 산재 장해 등급 눈의 장해  : 가. 시력의 장해  /  나. 눈꺼풀의 장해 /  다.  준용등급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 [별표 5] (개정 2021. 2. 1)가. 시력의 장해 나. 눈꺼풀의 장해다.  준용등급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별표 6] 등급 제 1급두 눈이 실명되 사람제 2급한쪽 눈이 실명되고 다른  쪽 눈의 시력이 0.02 이하로 된 사람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2이하로 된 사람제 3급한쪽 눈이 실명되고 다른 쪽 눈의 시력이 0.06 이하로 된 사람제 4급두 눈의 시력이 각각 0.06 이하로 된 사람제 5급한쪽 눈이 실명되고 다른 쪽 눈의 시력이 0.1 이하로 된 사람제 6급두 눈의 시력이 각각 0.1 이하로 된 사람제 7급한쪽 눈이 실명되고 다른 쪽 눈의 시력이 0.6 이하로 된 사람..
[산재보상5.]산재장해등급 신청절차 산재요양승인이 되면서 치료종결 날짜도 정해집니다.  그러나 입원이 더 필요하거나 통원치료를 연장해야 한다면 근로복지공단에 진료계획서를 다시 넣어야 합니다. 병원에서 입원이나 통원 치료가 더 필요하다는 주치의 소견서와 함께 진료연장신청을 해야 합니다.진료연장신청은 요양기간을 늘리는 것으로 그 기간동안 필요한 치료를 더 받을 수 있고, 요양종결 기간동안 휴업급여 청구가 가능하므로 종결전까지는 치료연장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근로복지공단에서 심사를 거처 요양연장 승인이 되어야 치료기간 연장이 가능합니다.이렇게 요양이 종결이 되었다면 상병명에 대한 장해급여를 청구 할 수있습니다.산재장해등급은 1급~14급등급장해보상일수연금대상 및 선급기간연금 일수일시금 일수1급~3급329~257일분1,474~1,155일분연금으로만..
[근로복지공단]업무중 사고 산재보상절차 서비스 https://www.kcomwel.or.kr/kcomwel/comp/proc.jsp 노동복지 허브, 근로복지공단 | 대표사이트_국문 | 산재보상 | 산재보상 | 산재보상절차 안타깝게 업무상 재해를 당하셨나요? 근로복지공단에서 산업재해로부터 근로자와 그 가족을 성심 성의껏 도와드리겠습니다. 아래 절차도를 클릭하시면 상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www.kcomwel.or.kr https://www.kcomwel.or.kr/kcomwel/ebook/ebook_bosang_2020/ecatalog5.html 2020 산재보험 보상·재활 서비스 가이드북 www.kcomwel.or.kr 산업재해보상보험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검색 산업재해사고 즉 산재사고는 업무상재해나 질병으로 인하여 근로자가 사고를 당하였을 때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