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의 치료※
골절편을 정복하고 유합시켜 기능과 미관을 가능한 정상에 가깝게 회복시켜
조기에 본래의 생활로 복귀시키는데 있습니다.
골절을 환자의 연령, 전신상태, 손상정도, 손상부위 ,합병증 유무에 따라 치료의 방법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골절편을 정복하고 유합시켜 기능과 미관을 가능한 정상에 가깝게 회복시켜
조기에 본래의 생활로 복귀시키는데 있습니다.
골절을 환자의 연령, 전신상태, 손상정도, 손상부위 ,합병증 유무에 따라 치료의 방법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치료방법◆
1.도수정복
비수술적으로 전위된 원위(심장에서먼쪽) 골절편을 근위(심장에서가까운쪽) 골절편에 맞게 가능한 해부학적 위치나
만족할만한 위치로 정열하는 방법입니다.
2.고정
전위가 없거나 경미한 수지골 골절, 늑골골절,소아의 쇄골골절 등 석고붕대, 기능적 보조기, 부목등이 사용됩니다.
3.수술적방법 - 관혈적 치료방법으로 수술의 방법으로 기능적 장애, 해부학적 손상을 회복시키는 방법입니다.
a.강선고정 : 슬개골이나, 주두 골절에 사용됩니다.
b.핀고정 : 소아의 불안정성 사완골 상과골절, Colles골절, 전위가 없는 대퇴골 결부골절 또는 골절편이 작은 관절내 골절,
전위가 된 슬개골 골절, 주두골 골절, 족관절 골절등이 있습니다.
c.나사고정 : 족관절부의 내과 밎 외과골절,경골의 나선형 골절
d.금속판과 나사고정 : 장골의 간부 횡골절에 사용되며 요척골, 대퇴골, 경골, 상완골 간부 골절에 사용 됩니다.
e.골수강내 금속정 : 대퇴골 간부골절,자연유합, 불유합, 병적골절등이 있습니다.
(금기중-개방성 복합골절, 소아골절 등)
f.외고정 : 경골의 개방성 골절, 화상을 동반한 골절, 심한 골소실을 동반한 골절, 골괴사가 없는 감염성 골절 및 불유합
관절유합술, 사지연장술 등이 있습니다.
4.개방성골절의 치료
개방성골절-골절부위가 개방창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어 있는 골절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서 피부를 뚫고나와 근육이나 연부조직을 손상시킨 골절)
치료-전신상태 확인후 골벌부위 출혈 상태 ,연부조직손상 정도, 신경이나 혈관의 손상정도 확인, 균배양위한 표본채취,
항생제 및 항파상품제를 투여하여 창상봉합 여부 및 골절부위 고정방법을 결정합니다.
5.골이식
신체의 골의 일부를 골편부위로 이전시키는 외과적 처치술을 말합니다. 이것은 골조직의 결손치환,
자연유합이나,골유합의 경우 골유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시행합니다.
방법에는 자가골이식, 동종골이식, 이종골 이식 등이 있습니다.
◆골절로 인한 합병증◆
지연유합 및 불유합-골절된 부위의 유합의 진행이 최소한 6개월 이상이 지나도록 완전히 정지된 상태를 말합니다.
부정유합-골절된 골편이 해부학적인 위치가 아닌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골유합 된 것을 말합니다.
구획증후군-사지의 어느 구획내의 내합이 상승, 이 구획 내에 있는 조직의 혈액순환과 기능이 장애된 것을 말합니다.
무혈성 괴사- 골절이나 탈구시 혈관손상이 동반되어 해당 혈관이 영양공급을 맡은 골의 부분 괴사가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관절강직-관절운동에 제한되는 것으로 장기간 고정치료,지속적 부종, 관절내 골절,광범위한 연부조직의 손상 등을 말합니다
재골절-골절된 부위가 유합된 후에 또는 유합과정 있던 골이 다시 골절되는 것입니다.
골수염-혈행성 질환으로 화농균이 골에 침입하여 생기는 염증입니다.
이소성 골형성-골절이나 탈구 등 외상 후 연부조직에 화골 및 석회 침착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외 : 외상후 골위축, 외상성 관절염, 혈관손상 및 신경손상,등이 있습니다.
'신체이야기 > 관절및골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키장사고 보상[십자인대파열과 압박골절 후유장해]배상책임보상 (0) | 2012.12.27 |
---|---|
십자인대파열[십자인대파열 후유장해]후유장해진단서발급 (0) | 2012.02.14 |
외상의 진단(골절)1.-상해에 의한 진단/골절진단 및 치료 (0) | 2011.06.20 |
(부위별분류)어깨3-견관절 손상/견관절 탈구 (0) | 2011.06.10 |
(부위별분류)어깨 2.-상지의관절/견관절 (0) | 2011.06.09 |